강한약방

한약자료실

사상의학
한약자료실 사상의학

사상의학 (四象醫學)

사상의학(四象醫學)

동무(東武) 이제마가 창시한 체질의학론이다. 이제마는 그의 책 《동의수세보원》에서 종래의 견해에 비하여 현실적인 측면에서 독특한 '사상구조론'을 바탕으로 태양인(太陽人), 소양인(少陽人), 태음인(太陰人), 소음인(少陰人)의 네 가지 체질을 설정하여 각기 체질에 따라 성격, 심리상태, 내장의 기능과 이에 따른 병리, 생리, 약리, 양생법과 음식의 성분까지 분류한다. 체질에 따라 내장의 대소 허실이 결정되어 있으며, 사람은 생리적으로 이 네 체형의 범주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간주한다.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
태양인 (太陽人)

태양인 (太陽人) 체질

태양인은 한방 의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폐와 대장이 크고 간과 담이 작은 체질을 가리킵니다. 태양인은 다른 체질과 비교했을 때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며, 이러한 체질에 맞는 식사 및 건강 습관을 갖는 것이 권장됩니다:

태양인의 특징:

  • 상체가 좋고 허리와 하체가 약하며, 머리 크고 목덜미가 굵고 실하다.
  • 사회적으로 소통 능력이 뛰어나며 사교적이고 과단성 있어 사회적 관계에 유능하다.
  • 소변량이 많고 잘 나오면 건강하다. 입에서 침이나 거품이 자주 나오면 병이 되기도 한다.
  • 담백한 음식이나 간을 보호하고 음을 만들어 주는 식품이 적합하다.
  • 지방질이 적은 해물이나 채소류가 좋으며, 해산물과 소채류가 적합하다.

이로운 음식:

  • 더운 음식보다는 생랭한 식품이 좋다.
  • 지방질이 적고 자극성이 적은 담백한 음식이 적합하다.
  • 지방질이 적은 해물류나 채소류가 좋다.
  • 간을 보호하는 음식이 좋다.

곡류:

모밀, 냉면

해물:

새우, 조개류(굴, 전복, 소라), 게, 해삼, 붕어

채소:

순채나물, 솔잎

과일:

포도, 머루, 다래, 감, 앵두, 모과, 송화(가루)

해로운 음식:

  • 매운 음식이나 성질이 뜨거운 음식, 지방질이 많은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
  • 칼로리가 높고 고단백 식품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간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태양인 체질의 사람들은 이러한 식단과 건강 습관을 지키면 간과 소화기 건강을 유지할 수 있으며, 체질에 맞게 식사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태음인 (太陰人)

태음인 (太陰人) 체질

태음인은 한방 의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특정한 생활습관과 특징을 가진 체질을 가리킵니다. 태음인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며, 이러한 특성에 따라 식사 및 건강 관리가 권장됩니다:

태음인의 특징:

  • 집안일이나 자기 일에 충실하며 남의 일에는 관심을 두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 욕심이 많거나 이기주의적인 성향을 가진 경우가 있습니다.
  • 성격은 정직하고 친절하며 약속을 잘 지키는 편입니다.
  • 하체가 강하며 허리와 다리에 통증이 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 고혈압, 간 경화, 당뇨, 피부병, 설사, 폐염, 감기 등의 질병에 쉽게 걸릴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로운 음식:

  • 동.식물성 단백질이나 칼로리가 높고 맛이 중후한 식품이 좋습니다.
  • 호흡기와 순환기 계통을 지원하는 식품이 필요합니다.

곡류:

밀, 콩, 고구마, 율무, 수수, 땅콩, 들깨, 설탕, 현미

육류:

쇠고기, 우유, 버터, 치즈

해물:

간유, 명란, 우렁이, 뱀장어, 대구, 미역, 다시마, 김

과일:

밤, 잣, 호두, 은행, 배, 매실, 살구, 자두

채소:

무, 도라지, 당근, 더덕, 고사리, 연근, 토란, 마, 버섯

해로운 음식:

  • 자극적이거나 지방질이 많은 음식을 피해야 합니다.
  • 닭고기, 개고기, 돼지고기, 삼계탕, 인삼차, 꿀, 생강차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태음인 체질의 사람들은 이러한 식단과 건강 습관을 지키면 각종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소양인 (少陽人)

소양인 (少陽人) 체질

소양인은 한방 의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특정한 생활습관과 특징을 가진 체질을 가리킵니다. 소양인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며, 이러한 특성에 따라 식사 및 건강 관리가 권장됩니다:

소양인의 특징:

  • 재간이 있고 판단력이 빠른 경향이 있습니다. 운동선수가 이 체질에 많이 속합니다.
  • 조급하고 잘못 판단하는 경우가 있으며, 음식으로는 냉한 음식을 선호합니다.
  • 얼굴은 둥근 편이고 눈은 크며 코 등이 솟아난 경우가 많습니다.
  • 가슴부위는 건강하고 흉곽 부분이 성장한 반면, 하체는 약하게 보입니다.
  • 깔끔한 성격을 가지며 몸 관리에 신경을 많이 씁니다. 종교가, 저술가, 예술가, 과학자, 사업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병에는 신허, 요통, 정력 약화, 위산과다증, 십이지장궤양, 불면증 등이 잘 발생합니다.

이로운 음식:

  • 비위(췌장과 위장)가 튼튼해서 음식을 잘 소화시킵니다.
  • 열을 내는 식품과 찬 음식을 즐깁니다.
  • 숙성된 음식, 소채류, 해물류, 보음하는 음식이 좋습니다.

곡류:

보리, 팥, 녹두

육류:

돼지고기, 계란, 오리고기

해물:

생굴, 해삼, 멍게, 전복, 새우, 게, 가재, 복어, 잉어, 자라, 가물치

채소:

배추, 오이, 상치, 우엉(뿌리), 호박, 가지, 당근

과일:

수박, 참외, 딸기, 바나나, 파인애플

기타:

생맥주, 빙과

해로운 음식:

  • 열을 내는 식품이나 자극성 있는 조미료를 피해야 합니다.
  • 닭고기, 개고기, 노루고기, 염소고기, 꿀, 인삼, 고추, 생강, 파, 마늘 등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양인 체질의 사람들은 이러한 식단과 건강 습관을 지키면 건강을 유지하고 신체적으로 활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소음인 (少音人)

소음인 (少音人) 체질

소음인은 한방 의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특정한 생활습관과 특징을 가진 체질을 가리킵니다. 소음인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며, 이러한 특성에 따라 식사 및 건강 관리가 권장됩니다:

소음인의 특징:

  • 체중이 균형이 있고 상하반신 자세가 건전하며 정중한 기품을 지니고 있습니다.
  • 성격은 얌전하고 정직하며 깔끔하고 사색적이며 게으르지 않으며 자기가 맡은 일에 충실합니다.
  • 소음인은 음식 소화가 잘 되며 먹는 양이 적습니다. 냉한 음식을 좋아하며 설사하기 쉬운 편입니다.
  • 고추, 파, 마늘, 감자, 미나리, 닭고기, 명태, 개고기, 대추 등과 더운 음식, 매운 음식을 선호하며 찬 음식을 싫어합니다.
  • 소음인 체질은 위장계통, 위하수 황달, 변비, 빈혈, 편두통, 우울증 등에 취약합니다.

이로운 음식:

  • 소화하기 쉽고 따뜻한 성질의 음식이 좋습니다.
  • 조리할 때 자극성 있는 조미료를 사용하여 식욕을 북돋워 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곡류:

쌀, 차조, 감자

과일:

사과, 귤, 토마토, 복숭아, 대추

육류:

닭고기, 개고기, 노루고기, 참새, 꿩, 양젖, 염소고기, 양고기, 벌꿀

해물:

명태, 도미, 조기, 멸치, 민어, 미꾸라지

채소:

시금치, 양배추, 미나리, 파, 마늘, 생강, 고추, 겨자, 후추, 카레

해로운 음식:

  • 소화하기 힘든 지방질 음식, 찬 음식, 날음식은 피해야 합니다.
  • 냉면, 참외, 수박, 냉우유, 빙과류, 생맥주, 보리밥, 돼지고기, 오징어, 밀가루 음식(특히 라면)은 좋지 않습니다.

소음인 체질의 사람들은 이러한 식단과 건강 습관을 지키면 건강을 유지하고 신체적으로 활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여성은 자궁이 실하고 다산하는 특징을 가질 수 있습니다.